해외에서 개발된 먹는 형태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제가 내년 2월부터 순차적으로 국내에 도입이 된다고 합니다.

 

먹는 코로나 치료제 40만명분 내년 2월부터 도입 국내제약사도 임상시험 메인이미지

 

고재영 질병관리청 대변인은 8일 중앙방역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정부가 선 구매 계약을 한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의 국내 도입 시기와 관련해 정부는 40만 4천 명 분의 경구용 치료제 확보를 결정했다"고 하는데요.

 

 

 

 

내년 "2월부터 단계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정부가 경구용 치료제를 국내 도입하기로 한 계획을 구체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합니다.

 

앞서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내년 1월에서 2월 사이에 도입할 수 있도록 바란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정부는 단계적 일상 회복 과정에서 중환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구용 치료제 40만 4천 명분에 대한 선 구매를 추진해 왔습니다.

 

지난 9월 미국 머크앤컴퍼니(MSD)와 20만 명 분, 10월 미국 화이자와 7만명분의 구매 약관을 각각 체결했습니다. 나머지 13만 4천명 분에 대한 구매도 MSD와 화이자 및 스위스 로슈와 협의 중이며 이달 안에 계약이 마무리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정부는 치료제의 사용에 있어 증상발현자나 고위험군에게 투약하여 중환자 병상 사용률을 떨어뜨리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는데요.

 

먹는 코로나 치료제 40만명분 내년 2월부터 도입 국내제약사도 임상시험 알약이미지
이미지 출처 : MBN 뉴스

 

그러나 아직까지 임상결과에 있어서는 고무적이라고 합니다. MSD 치료제의 경우 증상 발현 닷새 내 투여시 입원∙사망률이 89%나 감소한다는 결과발표가 있었습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달 말에 "국내 9개 기업의 국내 제약사에서도 경구용 치료제의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진행상황을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국내 개발에 필요한 여러가지 애로사항에 대한 해결과 임상∙생산 등을 개별적인 전 단계에 걸쳐 지원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 MBN 뉴스

 

고 대변인은 치료제 추가 구매 계획과 관련해서는 확진자 발생 현황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사용 승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추가 구매 필요성이 있는지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하였다고 합니다.

 

간편히 복용하는 것만으로도 코로나19 감염자가 중증 환자로 악화되는 것을 막아주는 경구용 치료제는 단계적 일상 회복 과정에서 입원자 및 중환자 급증을 막아줄 것으로 기대가 되는 바입니다.

 

먹는 코로나 치료제 40만명분 내년 2월부터 도입 국내제약사도 임상시험 썸네일 이미지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