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고 성능의 우주망원경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마침내 발사되었습니다. 금액만으로도 100억달러(11조9000억원)라는 천문학적인 비용이 투입되었는데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발사 한달 여정 생명체 행성 파악 메인이미지

 

이 망원경은 최장 10년간 운영되면서 빅뱅 직후 생성된 빛을 추적해 우주의 기원을 밝히고,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외계행성을 찾는 일 등에 활용될 계획입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제임스 웹 망원경'을 실은 아리안5호 로켓이 프랑스령 '기아나 유럽우주센터'에서 25일 오전 9시 20분(현지시간) 발사됐다고 발표했습니다.

 

한편 NASA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전 세계에 발사 장면을 생중계했는데요. 이날 제임스 웹 망원경을 탑재하고 발사된 아리안5호 로켓이 대기권을 뚫고 우주로 상승하는 장면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발사 한달 여정 생명체 행성 파악 분리모습

 

분리 절차에 따라 망원경을 덮고 있던 페어링이 진행되었는데요. 발사 27분 뒤, 제임스 웹 망원경은 로켓 동체에서 완전히 분리되었습니다.

 

분리의 순간, 지구에 있는 발사 통제실에서는 박수와 환호성이 터졌다고 하는데요. 이번 프로젝트를 추진한 미국 항공우주국 ,나사의 빌 넬슨 국장은 이에 대해 감동의 말을 전했습니다.

 

"웹 망원경은 우리를 우주가 시작하는 바로 그 시점으로 데려갈 타임머신"이라고 밝힌 건데요. 나사는 이번 우주망원경을 1960년대 미국의 달 착륙 계획을 추진한 제임스 웹 나사 국장의 이름을 따 명명했습니다.

 

 

 

 

제임스 웹 망원경은 1996년부터 개발이 시작됐으며 애초에는 2007년 발사될 예정이었습니다. 하지만 기술적인 문제가 나타났는데요.

 

여기에 최근 코로나19로 현장 작업이 지연되며 개발 속도가 더뎌지면서 우여곡절 끝에 결국 이날 우주로 떠나게 되었습니다. 개발에는 NASA와 함께 유럽우주국(ESA), 캐나다우주국이 참여했습니다.

 

 

제임스 웹 망원경은 앞으로 보름에 걸쳐 태양 빛 차광막과 주경을 펼치는 등의 우주전개를 할 예정입니다. 또한 우주 전개 이후 2주간 더 비행할 예정인데요.

 

지구와 약 150만㎞ 떨어진 L2 라그랑주점 궤도에 진입한 뒤, 본격적인 관측을 시작해 포착한 이미지를 지구로 송신할 계획입니다.

 

이 '라그랑주점' 자리에 제임스 웹 망원경을 두는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지구와 태양의 중력이 평형을 이루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특징은 궤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관측에 유리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제임스 웹 망원경은 인류의 천문학 수준을 크게 높일 것이라는 하는데요. 그 이유는 적외선 관측에 특화된 성능을 갖췄기 때문인데요.

 

제임스 웹 망원경을 통해 빅뱅 이후 약 3억 년 밖에 흐르지 않은 135억 년 전 초기 우주의 1세대 은하를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과학계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이해하고 은하의 분포를 파악해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의 실체에도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발사 한달 여정 생명체 행성 파악 우주안착모습

 

적외선으로 우주를 볼 수 있다는 점의 특징은 불투명한 우주 먼지 뒤편 별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현재 사용되는 허블우주망원경의 경우, 가시광선 영역을 주로 보여주는데요.

 

웹 망원경은 이론적으로 지구에서 약 38만㎞ 떨어진 달에서 날아다니는 호박벌의 열을 감지할 수 있으며 허블 망원경보다 성능이 100배 더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NASA는 설명자료를 통해 궁극적인 목표는 지구와 대기가 비슷한 행성을 찾는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제임스 웹 망원경은 외계 행성의 대기 구성성분 대한 정보를 읽을 수 있습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발사 한달 여정 생명체 행성 파악 관측예상도

 

이는 메탄이나 물이 존재하는 행성이 있다면 제임스 웹 망원경이 찾아낼 수 있다는 뜻 입니다. 이를 통해 미뤄뒀던 우주의 수수께끼를 풀어내며 우주에 대한 이해를 크게 바꿔놓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게다가 제임스 웹 망원경은 우주망원경으로서는 세계에서 가장 큰 거울까지 갖고 있습니다. 지름이 6.5m로, 허블망원경의 2.7배에 이르는데요. 거울이 클수록 빛을 더 많이 모을 수 있다고 합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발사 한달 여정 생명체 행성 파악 썸네일 이미지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